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생활 솔루션

납 녹는온도 완전 정리|실험·납땜·공예별 최적 온도와 주의사항 총정리

by 메모~해주~ 2025. 7. 24.

 

 

납 녹는온도 완전 정리|실험·납땜·공예별 최적 온도와 주의사항 총정리

납 녹는온도 완전 정리|실험·납땜·공예별 최적 온도와 주의사항 총정리

납 녹는온도는 작업의 품질과 안전을 좌우합니다.
합금별 녹는점, 납땜·주조·공예별 최적 온도, 실험실·취미 작업 시 주의사항까지
2025년 기준 실전 정보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납 및 합금별 녹는온도 표

종류 주요 성분 녹는온도(℃) 적용 예시
순수 납(Pb) Pb 99.9% 327.5 주조, 예술공예, 납블록
납땜용 60/40 합금 Sn 60% / Pb 40% 183~190 전자·전기 납땜
납땜용 63/37 합금(유텍틱) Sn 63% / Pb 37% 183 정밀 회로, SMD/PCB 등
무연납(Sn-Ag-Cu 등) Sn·Ag·Cu 합금 216~232 친환경 전자납땜
납 산화물(녹는온도↑) PbO 등 880 이상 도자기 유약, 유리 제조
  • 순수 납은 327.5℃, 납땜용 합금은 183~190℃가 표준입니다.
  • 유택틱 합금(63/37)은 고체→액체 변환 온도차가 없어 전자 회로에 최적.
  • 무연납(Sn-Ag-Cu)은 온도가 더 높지만 인체·환경에 안전합니다.

실험·납땜·주조 공예별 최적 온도

  • 1. 실험실 납 용해/주조
    • 순납: 350~400℃(완전 용해·탈기 작업 적합)
    • 주조·블록 만드는 경우는 370~400℃에서 천천히 용융, 온도계 필수
    • 혼합금속 첨가시(주석·비스무트 등) 해당 원소 녹는점 반드시 사전 확인
  • 2. 전자·전기 납땜
    • 납땜인두: 350~400℃, 납 땜 합금(60/40, 63/37) 기준
    • 무연납 사용시: 380~450℃(무연납은 20~50도 더 높음, 온도조절형 인두 사용 권장)
    • 대량/파워납땜(자동/웨이브 솔더): 250~270℃
  • 3. 공예·아트·주조
    • 소형 주물, 납글귀/동판 예술: 340~375℃
    • 세밀 조각/실버혼용/소프트솔더: 200~350℃ 범위
  • 납이 분해(기화)하는 온도(900도 이상) 및 주변 건열기(히터, 토치 등) 사용시 작업자 안전 장비 필수

납 작업별 장비·공구 선택 팁

  • 납땜(인두·스테이션): - 디지털 온도조절 기능, 최소 350~450℃ 지원 제품
    - 무연납/유연납 자동 전환 기능 있는 제품 추천
  • 납 용해포트/주조기: - 반도체(전기로), 주조(항온 열선, 용탕냄비) 등 400~500℃ 대응 모델
    - 세라믹/흑연, 내열 용기 사용, 금속 집게·화상방지 도구 필수
  • 실험실/퇴적/분석: - 고열 도가니, 온도계, 국소배기(후드), 방열장갑, 안전보호구 일체
  • 공예·아트: - 소용량 미니 전기용융기, 방열 판, 도자기/돌/금속 작업대
  • 전자/주조 전용 인두, 포트 모두 국내 KC/CE 등 인증제품, 아날로그 구형 공구는 주의

납 증기·안전·환경 주의사항

  • 인체 독성(납 중독): - 흡입·피부 접촉 주의(납 증기, 먼지, 납땜 연기 등), 호흡기/손·손톱·입가 보호
  • 실내 환기/국소배기 필수: - 반드시 후드·환기팬 가동, 작업장 창문 상시 개방. - 소형 작업은 휴대식 납땜 연기 흡입기(흡입 필터, 활성탄 등) 병행
  • 어린이·임산부 작업 절대 금지, 작업 후 손·도구 세척 필수
  • 분리 배출/환경오염 주의: - 남은 납·납땜 쓰레기, 용융 찌꺼기는 절대 일반쓰레기에 버리지 말고 폐기물센터 분리배출
  • 의류, 장갑 등은 별도 세탁·관리

마무리 & 참고 링크

납 녹는온도합금별 최적 작업온도만 잘 챙기면
전자·공예·실험 등 모든 분야에서 품질도 안전도 UP!
작업별 용해장비, 안전·환경수칙까지 꼼꼼히 챙기세요.

#납녹는온도 #납땜온도 #납합금 #주조공예 #실험실납 #납작업안전 #인두 #용해공구 #납중독주의 #2025납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