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 의복의 품격,
옷고름의 의미와 다양한 상징적 요소
옷고름(고름)은 한복의 미와 정신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결절(매듭) 요소입니다.
유래, 기능, 색·디자인의 의미, 예법, 현대적 변용까지
한복 고름에 담긴 한국의 미의식과 상징을 한눈에 풀어봅니다.

PRO TIP:
한국 의복의 ‘고름’은 단순한 끈이 아니라
‘겹겹이 맺고 푸는 정신, 바람·소망·덕·정서의 매듭’
옷고름을 곱게 매면 마음가짐까지 한층 엄숙해진다는 깊은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한국 의복의 ‘고름’은 단순한 끈이 아니라
‘겹겹이 맺고 푸는 정신, 바람·소망·덕·정서의 매듭’
옷고름을 곱게 매면 마음가짐까지 한층 엄숙해진다는 깊은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1. 옷고름의 탄생과 기능
- 고름=한복 저고리나 두루마기, 조끼 등에 달린 리본형 끈으로 멋과 실용 모두 담당
- 유래는 삼국시대~고려시대 직물술 발달, 끈 묶는 방식을 ‘용수’ 또는 ‘매듭’과 연결
- 옷 여밈+체형조절+풍류감상… “풀고 맺음”이 한복의 리듬과 선을 더함
- 여성은 보통 2개로 묶는 (겹고름)이 기본, 남성·어린이·의례복 등은 변형 풍부
2. 고름의 색·길이·매듭에 담긴 상징
- 색: 오방색(청홍황백흑), 보라·연두·분홍·진청 등 다양 길상, 행복, 건강, 부귀, 장수, 기원을 상징 신부한복 고름은 붉은색(생명력), 아기 첫돌은 파랑·분홍(장수+복)
- 길이: 넉넉한 고름은 마음과 태도의 여유, 짧고 단정한 고름은 문인·양반의 격식미
- 매듭법: 곱게 피듯 한 번만 묶기-목련, 연꽃매듭에서 유래, ‘겹고름(두 겹)’, ‘솟은고름’, ‘나뭇잎고름’ 등 아름다운 이름과 의미 가득
- 위치: 중간·왼쪽이 기본(불로장생 상징), 양대칭은 평등·조화 추구
- 매듭 예술 ‘매듭공예’는 전통혼례, 관복, 궁중복식에서 고급스러운 변주로 확대
- ‘고름을 고친다’=몸가짐·생각을 가다듬는다는 고사성어, 마음의 자세까지 품격있게!
3. 예법과 사회적 메시지로서의 고름
- 과거 신분별/나이별 구분: 관복·예복·상례복 고름은 색·크기·소재 모두 달리 적용
- 혼례복/족두리 등은 고름 색·매듭에 행복·축복·삼신 신앙(태몽) 상징
- 상례(상복)엔 흑백/남색 등 엄숙함·절제의 의미 깊이 반영
- 여성은 내부 진솔함, 남성은 겉 절제미를 상징(남녀고름 묶는 법도 다름)
- 왕실 고름(곤룡포·황후의 대례복)은 길이·매듭에서 권위·위엄 드러남
- 고름 매무새=인품·예절·가정의 품격을 나타내는 마지막 손길
4. 현대 한복/패션에서 고름의 변신
- 현대 한복에선 천연염색, 그래픽·실크, 레이스, 비비드한 컬러 등 자유롭게 변형
- 고름 없는 디자인(옷핀/버튼), 어깨·허리·백 인테리어용 ‘데코고름’도 유행
- 웨딩, 중요한 행사(입학·성년식·해외공연)에서 고름의 의미 재해석
- 고름 매듭·매무새 DIY 키트/악세사리(핀·팔찌 등)로도 다양하게 활용

Q&A · 옷고름의 실제 활용과 의미
- 고름을 꼭 묶어야 하는 이유?
심미성과 현실적 안정, 품격있는 외모까지 고름은 한복의 완결을 더하는 핵심요소입니다. - 매듭 모양, 꼭 전통 공식만 따라야 하나요?
기본 예법 외에 시대·취향·상황 따라 자유변주, “자유롭지만 단정하게”가 한국적 미의 핵심! - 고름에 묻어난 ‘복’의 상징은?
‘풀고 맺으며, 소망을 담는 것’ … 끈질김, 새출발, 화목, 아름다운 만남의 기원 - 고름으로 집·생활 소품 활용도 가능한가요?
네! 행잉 오브제, 벽장식, 실내 매듭소품, 책갈피 등도 많습니다.
- 한복 고름은 단순한 끈이 아닌 ‘미·예절·소망’이 담긴 문화코드!
- 전통 예법부터 컬러·매듭 변형, 현대 소품까지 다양하게 누려보세요.
- 오늘 내 품격은 ‘고름을 고쳐매는’ 작은 손길에서부터 시작!
'민화·전통예술(조선민화, 궁중회화, 전통기법, 물감·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TOPIK Exam Schedule: All Test Dates, Registration & Results at a Glance (0) | 2025.06.08 |
---|---|
풍물놀이에서 K-POP까지, 국악이 이어온 한국의 소리 (2) | 2025.04.07 |
조선 시대의 음식 플레이팅 미학, 그 섬세한 아름다움 (0) | 2025.04.05 |
전통 풍수지리 - 현대적 해석을 담은 인테리어 (2) | 2025.04.05 |
한국 전통 주 – 시간 속에서 피어난 맛과 향 (0) | 2025.04.05 |
"전통 공예의 현대적 재 해석" (1) | 2025.04.05 |
고려청자의 온도별 색상 차이, 현대 과학으로 분석하다 (0) | 2025.04.04 |
복을 부르는 민화 이야기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