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톺아보기] 사맟다의 뜻과 쓰임|순우리말 의미 완벽 해설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쓰는 '사맟다'의 정확한 뜻과 올바른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아름다운 순우리말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해보세요.
  핵심 요약:
'사맟다'는 사람이나 물건이 서로 어울리거나 꼭 들어맞는다는 뜻의 순우리말입니다. 또한 마음에 들다, 적합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사맟다'는 사람이나 물건이 서로 어울리거나 꼭 들어맞는다는 뜻의 순우리말입니다. 또한 마음에 들다, 적합하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목차
1. 사맟다의 기본 뜻
'사맟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순우리말로,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됩니다.
| 의미 | 설명 | 예시 | 
|---|---|---|
| 서로 어울리다 | 사람이나 물건이 서로 꼭 들어맞다 | 두 사람이 참 잘 사맟는다 | 
| 마음에 들다 | 적합하고 마음에 꼭 맞다 | 이 옷이 내게 사맟는다 | 
| 조화롭다 | 조화를 이루며 어울리다 | 색깔이 잘 사맟는다 | 

순우리말 '사맟다' 서예
2. 어원과 역사
어원
'사맟다'는 '사-'(접두사)와 '맟다'(맞다의 옛말)가 결합한 형태입니다. '사-'는 '서로', '함께'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맟다'는 현대어 '맞다'의 어원입니다.
- 사-: 서로, 함께 (접두사)
- 맟다: 들어맞다, 적합하다 (동사)
- 결합: 서로 들어맞다 → 사맟다
문헌 속 사맟다
조선시대 문헌에서도 '사맟다'의 사용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주로 혼인, 관계, 조화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되었습니다.
고전 문헌 예시:
"두 집안이 서로 사맟아 혼인을 맺었다"
"색과 무늬가 사맟아 보기 좋다"
3. 올바른 사용법
활용형
| 시제 | 활용형 | 예문 | 
|---|---|---|
| 현재 | 사맟는다 | 두 사람이 참 잘 사맟는다 | 
| 과거 | 사맟았다 | 그 옷이 너에게 사맟았어 | 
| 미래 | 사맟을 것이다 | 이 색이 잘 사맟을 것이다 | 
| 관형사형 | 사맟는 | 사맟는 짝을 만났다 | 
문법적 특징
- 품사: 동사
- 활용: ㅅ 불규칙 활용
- 주어: 주로 사람, 물건이 주어로 옴
- 목적어: 대상을 나타내는 목적어와 함께 사용
  PRO TIP:
'사맟다'는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낮아졌지만, 문학 작품이나 격식 있는 글에서 사용하면 운치 있고 품격 있는 표현이 됩니다!
'사맟다'는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낮아졌지만, 문학 작품이나 격식 있는 글에서 사용하면 운치 있고 품격 있는 표현이 됩니다!
4. 실생활 예문
인간관계
- 두 사람의 성격이 참 잘 사맟는다.
- 그들은 첫 만남부터 서로 사맟았다.
- 이렇게 잘 사맟는 친구는 처음이야.
물건·색상
- 이 커튼과 소파 색이 잘 사맟는다.
- 새 안경이 네 얼굴에 사맟는구나.
- 디자인과 기능이 사맟는 제품이다.
추상적 개념
- 그의 말과 행동이 사맟지 않는다.
- 이론과 실제가 잘 사맟는 사례다.
- 음악과 영상이 완벽히 사맟았다.

순우리말 캘리그라피 kangso-eun Calligrapher & designer
5. 비슷한 순우리말
| 순우리말 | 뜻 | 예문 | 
|---|---|---|
| 어울리다 | 서로 잘 맞다 | 두 사람이 잘 어울린다 | 
| 맞아떨어지다 | 딱 들어맞다 | 계획이 맞아떨어졌다 | 
| 알맞다 | 꼭 맞고 적당하다 | 크기가 알맞다 | 
| 제격이다 | 딱 맞는 격 | 그는 이 일에 제격이다 | 
| 안성맞춤 | 매우 적합함 | 안성맞춤 선물이다 | 
유사 표현과의 차이
- 사맟다 vs 어울리다: 사맟다가 더 문어적이고 격식 있는 표현
- 사맟다 vs 맞다: 사맟다는 '서로'의 의미가 강조됨
- 사맟다 vs 조화롭다: 사맟다가 더 직관적이고 구체적
6. 자주 묻는 질문
사맟다는 표준어인가요?
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준어입니다. 다만 현대에는 사용 빈도가 낮아졌습니다.
'사맞다'와 '사맟다' 중 어느 것이 맞나요?
'사맟다'가 맞습니다. '맟다'는 '맞다'의 어근으로, ㅅ 불규칙 활용을 합니다.
일상 대화에서 사용해도 되나요?
가능하지만, 다소 격식 있는 표현이므로 친근한 대화보다는 문학적 표현이나 격식 있는 자리에 적합합니다.
사맟다와 비슷한 한자어는?
조화(調和), 적합(適合), 부합(符合), 상응(相應) 등이 유사한 의미의 한자어입니다.
북한에서도 사용하나요?
북한 문헌에서도 '사맟다'의 사용 사례가 확인되며, 남북한 모두 인정하는 표현입니다.
관련 자료
'IT·디지털 가이드 > 도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백세희 작가 장기기증 의미와 유산 우리가 기억해야 할 ‘생명 나눔’의 메시지 (0) | 2025.10.18 | 
|---|---|
| 2026년 머니 트렌드 완전 분석 김도윤 외 전문가 8인이 전망한 부의 미래 (0) | 2025.10.09 | 
| 2026년 소비자트렌드 대예측! 『트렌드 코리아 2026』 핵심 인물/AI 시대 모습 완전 해부 (0) | 2025.10.09 | 
| “무겁게 사는 시대는 끝났다” 송길영 『경량문명』 신간 리뷰와 현대 사회 생활 전략 (0) | 2025.10.08 | 
| 『다크 시리즈』 완전 해부 인간 심리의 어두운 면과 실전 심리 기술 분석 (0) | 2025.10.08 | 
| 해리슨의 꽃 줄거리와 교훈 인물 관계도·상징 해석까지 한눈에 (0) | 2025.09.30 | 
| 2025 트렌드 코리아 라이프스타일 키워드 심층 분석|미래 소비 패턴 7가지 (3) | 2025.09.20 | 
| 가을 독서 추천도서|마음까지 채우는 감성 책 TOP 15 (0) | 2025.09.1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