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필독 미국 무역 비관세 협상 대비
기업 리스크 관리법 7단계
미국의 비관세 장벽 확대는 단순 관세를 넘어 수출입 기업의 경쟁력을 직접 위협합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CEO와 경영진이 전략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7단계 실행 방법과 팁을 상세히 제시합니다.
PRO TIP:
비관세 규제는 미국 의회, 행정부, 규제 기관 정책 변화까지 폭넓게 포함하므로,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정보 수집과 유관 부서 간 긴밀한 소통이 필수입니다.
비관세 규제는 미국 의회, 행정부, 규제 기관 정책 변화까지 폭넓게 포함하므로,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정보 수집과 유관 부서 간 긴밀한 소통이 필수입니다.
1단계: 비관세 장벽(NTB) 이해 및 범위 설정
- 종류 상세 파악
- 반덤핑·상계관세: 특정 국가 및 기업 대상 조치 이력 점검
- 기술규제(TBT): 안전, 위생, 환경, 에너지 효율 기준
- 위생·검역(SPS): 농수축산물 및 식품 안전 규정
- 수입쿼터·라이선스: 국가별 할당량 및 허가 절차
- 인증·라벨링: 에너지, 환경, 원산지, 무역투명성 관련
- 규제 주체 식별
- 미국 상무부(DOC), 국제무역위원회(USITC)
- 농무부(USDA), 식품의약국(FDA), 환경보호청(EPA)
- 세관국경보호청(CBP), 연방통상대표부(USTR)
- 영향 분석
- 제품별 NTB 적용 가능성 매트릭스 작성
- 매출, 원가, 시장 점유율에 미치는 위협 시나리오 구체화
2단계: 글로벌 규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정보원 다각화
- 미국 연방관보(Federal Register) 신규 규정 공고 알림
- WTO/TBT·SPS 위원회 문서 및 회원국 보고서
- 국제 무역 전문 로펌·컨설팅 리포트 구독
- 社內 TF팀 운영
- 무역, 법무, 품질, R&D, 구매 부서 연계 워킹그룹 구성
- 월간 및 분기별 정기 회의로 최신 리스크 공유 및 업데이트
- 알림 및 대시보드
- 규제 변경 예측 및 경고 대시보드 개발 및 운영
- 이메일, 슬랙, 사내 인트라넷 알림 자동화 시스템 구축
3단계: 공급망·파트너 컴플라이언스 역량 강화
- 공급망 전수조사
- 1차, 2차 협력사 소재지, 인증·규제 준수 현황 점검
- 리스크 SOW(Statement of Work)에 준수 의무 명확 반영
- 정기 감사 및 점검
- 관세, SPS, 라벨링, 환경 기준 포함한 실사 체크리스트 활용
- 연 1회 이상 문서 및 현장 감사 철저 시행
- 교육·지원 프로그램
- 협력사 대상 웹세미나, 워크숍 정기 운영
- 규제 대응 매뉴얼 및 FAQ 배포와 지속적 업데이트
4단계: 제품·공정 대응 전략 수립
- 신규 제품 설계 검토
- 규제 회피 가능한 소재 혹은 대체 기술 적용
- LCA(Life Cycle Assessment)로 환경부하 평가
- 공정 최적화
- 오염물질 배출 저감 설비 투자 및 운영
- 친환경 포장 및 안전한 화학물질 사용 최소화 추진
- 인증 획득·업그레이드
- ISO 14001, ISO 45001, ENERGY STAR 등 국제 표준 인증 선제 대응
- 글로벌 시장 진입용 CE, RoHS, UL 인증 강화
5단계: 인증·라벨링·무역 문서 관리
인증/문서 | 요구사항 | 관리 방안 |
---|---|---|
FDA 등록 및 승인 | 제품 등록, GMP 준수, eCTD 제출 | 예비시험, 전담팀 검수, 제출 일정 자동 리마인더 |
USDA SPS | 검역증명, HACCP 및 GAP 검증 | 인증 대행사 계약, 정기 갱신 일정 관리 |
TSCA/REACH | 화학물질 신고 및 허가 | 물질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신규물질 관리 프로세스 |
에너지 및 환경 라벨 | Energy Star, CE, RoHS 등 인증 요구 | 테스트 보유, 외부 시험기관 네트워크 활용 |
6단계: 모의협상·시뮬레이션 및 위기 대응 플랜
- 협상 워크숍
- WTO 분쟁 사례 기반 대응 시나리오 훈련
- 전략적 양보 포인트 및 요구사항 우선순위 설정
- 위기 시나리오 매뉴얼
- 인증 취소, 수출 중단, 추가 관세 부과 시 대응 절차
- 내부 커뮤니케이션 및 미디어 대응 가이드 포함
- 비상 연락 체계
- 관계 부처, 협회, 법무, 물류 등 비상 이벤트 연계망 구축
- 긴급 상황 시 대체 공급망 가동 계획 마련
7단계: 지속적 개선·성과 관리
- KPI 설정
- NTB 발생 건수, 인증 지연, 공급망 감사 결과 등 수치화 목표 설정
- 비용 절감 효과, 시장 점유율 변화 등 주요 성과 지표 포함
- 정기 리뷰 및 프로세스 업데이트
- 내외부 감사 주기적 진행 및 베스트 프랙티스 공유
- 매뉴얼 및 체크리스트 지속 보완
- 교육 확대
- 온보딩 시 컴플라이언스 필수 교육 실시
- 연 1회 전사 워크숍 및 모의 훈련으로 대응 역량 강화
- 비관세 장벽 전반과 미국 규제 기관, 관련 법령 이해로 준비 완성
- 통합 모니터링 체계 및 TF팀 운영으로 정보 확실히 관리
- 공급망 컴플라이언스 강화 및 정기 감사로 리스크 감소
- 제품 및 공정 최적화와 인증, 문서 관리 프로세스 구축 필수
- 협상 시뮬레이션과 위기 대응 매뉴얼, 비상 연락망 철저 준비
- KPI 기반 성과 측정 및 지속 교육으로 대응 체계 확립
'생활정보·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분석 미국 CPI 발표 시각·예상치·영향력 3단계 리포트 (6) | 2025.08.12 |
---|---|
초보도 쉬운 고속도로 충전소 찾기|앱 설치부터 알림 설정까지 (7) | 2025.08.12 |
트럼프 라운드 완전 정복 무역협상 게임체인저 분석과 대응전략 (2) | 2025.08.12 |
금 관세 부과, 미국이 원하는 것과 우리가 준비할 것|실전 대응 매뉴얼 (4) | 2025.08.12 |
배출권거래제와 6대 할인쿠폰, 올바른 조합으로 환경·경영 같이 잡는 법 (4) | 2025.08.09 |
2025 법인세 중간예납, 자기계산 기준으로 똑똑하게 세액 줄이는 비법 (7) | 2025.08.07 |
광복절에 태극기 달기, 올바른 방법과 80주년 기념 행사 정보 총정리 (12) | 2025.08.07 |
2025년 8월 서울전시회 총정리|미디어아트부터 명작 체험관까지 TOP 추천 (6)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