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조경,농업-그린 테라피

과수원 농가 필독! 미국선녀벌레 피해 실태와 효과적인 방제법

by 메모~해주~ 2025. 8. 4.

 

과수원 농가 필독!
미국선녀벌레 피해 실태와 효과적인 방제법

2025년, 전국 과수원 미국선녀벌레 피해 '12배 폭증'
감·포도·복숭아 등 주요 과수 상품성 급락, 생태계 위협까지!
농촌진흥청·농업기술센터 권장 실전 방제법과 현장 노하우, 예찰·약제/천적 방제, SNS 상담길까지 한 번에 제시합니다.

과수원 농가 필독! 미국선녀벌레 피해 실태와 효과적인 방제법

[PRO TIP]
미국선녀벌레 “5~6월 약충” 방제가 핵심! 예찰·방제는 성충(7~9월)보다 부화~약충기에 집중, 산림·텃밭·유휴지 포함 주변지역과 '공동방제' 가능하면 동시에!
방제 지연 시 수확량↓, 상품성↓, 그을음병·2차 병해 폭증!

1. 미국선녀벌레 피해 실태 & 기본 생태

  • 2025년 전국 390ha(12배↑), 감·포도·복숭아·블루베리 등 300여 작물에 피해 급증[206][212].
  • 수액 흡즙→ 생장 저해, 왁스분비→ 그을음병, 상품성 대폭 하락 및 광합성 방해[208][218].
  • 알로 월동(나뭇가지 틈) → 5월 중순~7월초 '약충' → 7~9월 '성충' 활동[215][218].
  • 산림/야산 경계, 텃밭·유휴지 인근 확산 많음. 기후온난화·약제내성 증가로 방제 어려움[212].

2. 예찰·피해 증상 파악법

  • 잎, 가지, 과실껍질에 흰 왁스·포슬포슬한 덩어리 다닥다닥 붙은 모습[208][218].
  • 5월 약충 부화→ 6월 약충 꼼지락, 잎 흔들면 쉽게 뛸 수 있음.
  • 가지·줄기의 수액이 빠지면서 잎, 열매 고사, '그을음병' 검은 얼룩/곰팡이 다발 발생.
  • 알은 겨울~봄, 가지·초롱이 밑에 밀집(도장지 크게 영향 받음).
현장 TIP
산림 인접 토지·자투리 텃밭도 5월~6월 “반드시” 함께 조사! 성충기 방제(8~9월)는 효과↓, 부화~약충 방제(5~6월)가 핵심!

3. 시기별 효과적 방제 전략

시기 주요 예찰/방제 조치 활용 약제/방법
초봄~5월초 가지 정리·알 부착 부분 도장지/감로·초롱이·잡목 정밀 조사, 발견 즉시 컷팅 후 소각 -
5월 중순~6월 초(약충기 1차) 예찰·방제 “최고효율”기, 유충 위주. 약제 살포 1회(5월말) + 풋베기/끈끈이 트랩 SET 등록약제(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클로티아니딘·티아메톡삼[210][218]), 끈끈이트랩
6월 중순~7월초(약충기 2차) 2차 약제살포, 주변 산림·텃밭·경계 풀베기, 방제시작 후 8~10일 간격 2회 방제 동일 약제 2연속 방제X, 반드시 구역나눠 예찰
7~9월(성충기) 성충 다량 이동성↑, 교미·산란 활발→ 작물·이웃·산노 주변 공동 예찰/끈끈이트랩, 약제 방제 추가 등록약제·천적집게벌 효과↑(성충분산지/산림·초지 주변 포함)
10월~월동전 가지·초롱이·도장지 등 알 덩어리 붙은 부위 제거/소각, 동계 전처리 공동작업 적극 실시 -

4. 천적(집게벌)·친환경·약제 방제법

  • 천적 선녀벌레집게벌 활용:
    • 2024~25년 전국 시범농가, 선녀벌레집게벌 방사 결과 평균 30%이상 방제 효과[207][209][224].
    • 암컷 성충·약충에 알 산란→기생·죽음, 4~5월 고치 수확·저장. 기주(뽕나무) 심기 필요[209].
    • 지자체(농업센터)에 “천적 공급 지원 문의” 가능. 미등록지역은 공동방제/트랩 병행
  • 등록약제(화학방제):
    • 농진청 인증약제: 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디노테퓨란+에토펜프록스, 클로티아니딘 액상수화제, 티아메톡삼 입상수화제[210][218]
    • 애벌레(약충)시기 5~6월 살포효과↑, 성충시기 7~8월 “넓은 범위+인근 산림/임야 동시 방제” 필수
    • 약제 혼합연달아 사용 금지, “효과 높은 약”+“날씨 좋은 오전” 살포
  • 친환경 방법:
    • 끈끈이트랩, 풋베기(경계 풀베기, 교란지 정리)
    • 알·약충 묻은 가지 발견→ 잘라내어 즉시 소각
    • 유기농/특수작목은 “무농약 천적+트랩+친환경 인증 유용미생물(EMA 등)” 혼합
  • 예방·공동방제:
    • 마을 단위 방제, 담당구역 정해 2~3번 연속(5월, 6월, 8월) 동시 실시!
    • 친환경·약제 병행, 트랩은 비산지역(산림경계, 텃밭, 하천변)에 집중, 성충 이동 차단
  • 기타 관리:
    • 방제 전후 도구·작업화·농기구 소독, 방제 당일 날씨 확실히 체크(비·바람X)
    • 7~10월 성충 시기엔 외부 묘목·농자재 유입 주의, 현장감시/SNS 실시간 피해 알림 활용
실제 농가 Q&A & 최신 현장 피드백
Q. 과수원 외곽 방치하면 무조건 다시 대발생… 교차방제/합동방제, 인접농가와 협력해야 재발확률↓
Q. 친환경 포장(유기농)은 “천적+끈끈이트랩+미생물톡이” 3종 병행시 효과 좋음!
Q. 성충기 방제 실패시? 인근 방치지/산림/텃밭 전체 조기 예찰·동시 약제 살포, SNS 신고 필수

5. 현장 실전 Q&A·상담 안내

Q1. 언제 방제해야 효과가 가장 높나요?

미국선녀벌레는 “약충기(5월 중순~7월 초)” 집중 방제가 효율적입니다. 성충기엔 약제효과 약하므로 “초여름~초가을 2~3회 방제+공동방제” 필수[208][218][223][214].

Q2. 트랩/끈끈이/천적과 약제, 동시 써도 되나요?

가능하며, 친환경 구간은 천적집게벌+끈끈이트랩, 관행 과원은 약제+트랩+천적(가능할 경우) 함께 활용 권장.

Q3. 약제 선택 방법, 같은 약 연속 사용해도 되나요?

“등록 약제”만 사용, 동일 계통 2연속 사용 금지, 미국선녀벌레 추가 발생 시 제품 교차 변경

Q4. 피해 신고/공동 방제 방법은?

마을회, 농업회·농업기술센터, 시·군 미국선녀벌레 담당부서(농진청, 산림청) SNS·긴급 신고 시스템 24시간 운영

Q5. 공식 정보·실시간 신고/상담/피해사례 보기

농사로 정보(방제/피해) 천적 활용 공식자료 과수생육 품질시스템 농작물 재해상담 (현재창)

#미국선녀벌레방제 #과수원피해 #천적집게벌 #약충기방제 #성충예찰 #함께하는공동방제 #끈끈이트랩 #농사로공식 #친환경해충관리 #2025농사정보 #농업기술센터 #포도복숭아피해 #피해사례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