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믹용해온도, 실험·작업별 최적 온도와 장비 선택 요령
세라믹(도자기, 산화물, 내화물 등)의 정확한 용해온도, 소성·가공 온도, 장비 선택은 작품 완성과 실험 안전을 좌우합니다.
종류별 용해 특성·온도·장비 선택/안전 주의사항까지 2025년 최신 실전 가이드로 정리합니다.
세라믹(도자기) 종류별 용해온도 총정리
세라믹 종류 | 주요 성분 | 용해(소성) 온도 (℃) | 적용 예시 |
---|---|---|---|
도기류 (Earthenware) | 점토+석영+장석 | 900~1,100 | 생활도자, 장식접시 |
석기류 (Stoneware) | 점토+고령토 | 1,200~1,300 | 식기, 머그, 받침 |
자기류 (Porcelain) | 고령토+석영+장석 | 1,250~1,400 | 고급 찻잔, 도자 예술 |
산화물 세라믹 | Al₂O₃, SiO₂, ZrO₂ 등 | 1,600~2,000 | 내화물, 단열재 |
유리질 세라믹 | 유리+산화물 배합 | 1,400~1,650 | 내열 유리, 유리섬유 |
- 도기류는 낮은 온도(900~1,100℃), 자기류·산화물류는 고온을 요구합니다.
- 내화물(산화알루미늄 등)은 1,600℃ 이상에서 소성·용해가 가능합니다.
- 실험재료별 정확한 온도는 제품 설명서·MSDS에서 확인 필수!
실험·작업별 최적 온도 범위
- 1. 초벌·재벌 소성
- 초벌(습기 제거): 700~900℃ (수분·유기물 완전 제거)
- 재벌(실전 소성):
- 도기: 1,000~1,100℃
- 석기: 1,200~1,250℃
- 자기: 1,250~1,400℃
- 2. 유약·글레이즈 소성
- 저온유약: 900~1,050℃
- 고온유약: 1,200~1,300℃
- 특수효과 유약: 1,300℃ 이상
- 3. 실험용(SiO₂, Al₂O₃ 등)
- 산화알루미늄: 1,600~2,000℃ (용융, 내화물 제조)
- 유리질 세라믹: 1,400~1,650℃ (유리부속, 단열재)
- 4. 내화물·공업용 세라믹
- 최소 1,400~1,800℃ 소성, 항온로·고온가마/킬른 필수
장비(가마·킬른) 선택 요령
- 소형 실험, 취미용:
- 소형 전기가마(용량: 30~100L, 최고온도 1,100~1,300℃)
- 조작이 쉽고 가정·공방에서 사용
- 도자기·자기 소성:
- 중대형 전기가마·가스가마(200~500L, 최고 1,350~1,400℃)
- 온도제어(TC, PID 컨트롤러), 열전대 장착
- 공업용·고온내화물:
- 고온 킬른(전기/가스, 최고 1,600~1,800℃ 이상)
- 산화/환원, 분위기 제어(질소, 산소 등) 필요시도 있음
- 내화벽돌 라이닝, 고열차단재 필요
- 안전·내구성:
- 과온차단, 온도센서, 환기, 차열벽 등 안전장치 필수
- 작업 공간 환기, 근거리 화재 방지(소화기 비치) 중요
실전 안전·작업 주의사항
- 용해·고온 소성 중에는 보호장갑, 내열 앞치마, 안전고글 필수
- 공간 충분한 환기, 산소 부족시 공업용환풍기와 CO센서 사용
- 작업 전후 가마 내부 점검, 이물질·습기 제거
- 세라믹 파편·유해가스(유약 등 포함) 주의, 작업 후 청소·환기 강화
- 내화물·공업용 고온은 전문업체, MSDS/제조사 지시 반드시 준수
마무리 & 참고 링크
세라믹, 도자기, 산화물 등 작업별 최적 온도·장비만 잘 맞춰도 작품 완성도와 실험 안전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용해온도·재질별 특성·장비 선택법까지 꼼꼼히 체크하고 실험실·공방 작업의 성공률을 높여보세요!
#세라믹용해온도 #소성온도 #실험장비 #전기가마 #킬른선택 #세라믹작업 #도자기 #내화물 #작업안전 #2025실험가이드
'AI·테크·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견 애묘 DNA 검사로 알 수 있는 것들|우리 아이의 품종·질병 유전자 총정리 (2) | 2025.07.16 |
---|---|
네이버페이 환율 비교로 직구할 때 꼭 알아야 할 체크리스트 (0) | 2025.07.06 |
은 녹는온도 비교 금·동·은 등 귀금속별 차이와 특징 (2) | 2025.07.03 |
AI 프롬프트 제작, 수익화까지! 실전 노하우·마켓·예시 총정리 (3) | 2025.06.17 |
공급 확대부터 세금 완화까지, 2025 대선 이후 부동산 정책 한눈에 정리 (2) | 2025.06.08 |
GTX-A·B·C 노선별 2025년 분양 예정 아파트, 실거주와 투자 어디가 유리할까? (5) | 2025.06.08 |
2025년 신축 아파트, 왜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현상이 계속될까? (0) | 2025.06.08 |
크몽·숨고에서 실제 수익이 나는 틈새 부업: 자소서 첨삭, AI 프롬프트 제작 실전 후기 (3) | 2025.06.08 |